-
혈당지수(GI) vs 혈당부하(GL) 차이점 총정리건강 식재료 사전 2025. 4. 6. 23:34반응형
혈당을 관리하는 데 있어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개념이 바로 GI지수입니다.
하지만 GI지수만으로는 실제 혈당 상승량을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다는 점, 알고 계셨나요?
이럴 때 함께 고려해야 할 개념이 바로 **GL지수(Glycemic Load, 혈당부하)**입니다.이 글에서는 GI와 GL의 차이점, 계산법, 그리고 실생활 적용 팁까지 쉽고 명확하게 설명해드립니다.
🔍 GI지수란?
**GI(Glycemic Index)**는 음식이 혈당을 얼마나 빨리 올리는지를 0~100의 숫자로 표현한 것입니다.
기준은 포도당(100)이며, 숫자가 높을수록 혈당을 빠르게 올린다는 뜻입니다.- 70 이상: 고GI
- 56~69: 중GI
- 55 이하: 저GI
💡 참고글: GI지수란? 혈당 관리 핵심 지표 완벽 정리
📊 GL지수란?
**GL(Glycemic Load, 혈당부하)**는 음식 섭취량까지 고려한 지표예요.
같은 GI라도 실제 얼마나 먹었느냐에 따라 혈당 반응이 달라지기 때문에 GL을 함께 봐야 합니다.📐 GL 계산법:
GL = (GI × 탄수화물 함량[g]) ÷ 100
- 20 이상: 고GL
- 11~19: 중GL
- 10 이하: 저GL
예를 들어, 수박은 GI는 72지만 탄수화물이 적어 GL은 4 정도밖에 되지 않습니다.
그래서 GI만 보고 “혈당에 안 좋아!”라고 판단하면 오해가 생기죠.
🥗 GI와 GL, 어떻게 활용할까?
음식 GI 탄수화물(g/100g) GL 흰쌀밥 82 30 24.6 (고GL) 수박 72 6 4.3 (저GL) 귀리 55 20 11 (중GL) 이처럼 GI는 혈당 상승 속도, GL은 혈당 상승 총량에 가까운 개념입니다.
따라서 두 지표를 함께 참고하면 더 정밀한 식단 관리가 가능하죠.
🧩 GI와 GL을 함께 활용하는 팁
- GI가 낮고 GL도 낮은 음식이 가장 이상적입니다
- GI가 낮더라도 탄수화물이 많다면 GL이 높을 수 있습니다
- GL이 낮은 음식은 혈당 반응이 완만하므로 식사에 안정감을 줍니다
🍴 더 알아보기: GI지수 낮은 음식 리스트 Top 10
📌 GL이 낮은 대표 음식도 함께 소개할 예정이니 다음 글도 기대해주세요!
✅ 마무리 한마디
GI는 "속도", GL은 "양"입니다.
운전을 예로 들면, GI는 속도계, GL은 거리계와도 같아요.
둘 다 알아야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도달할 수 있겠죠? 😊
👉 오늘부터 실천해봅시다!
오늘 식사부터 GI와 GL 두 가지를 함께 고려해보세요.
혈당 관리가 훨씬 더 쉬워질 거예요.
👉 다음 글에서는 GL이 낮은 음식 리스트와 식단 예시도 다룰 예정입니다!
✅ 관련글 추천
반응형'건강 식재료 사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🥣 귀리 속 숨은 영양소 TOP 5 (0) 2025.04.07 GI지수란? 혈당 관리 핵심 지표 완벽 정리 (0) 2025.04.06 피스타치오의 놀라운 효능과 건강한 섭취를 위한 주의사항 (0) 2025.04.04 🥜 호두 vs 아몬드 vs 캐슈넛, 어떤 견과류가 더 좋을까? (0) 2025.04.03 곰보배추, 50대 여성 필수 식품! 지금 꼭 먹어야 하는 이유 (0) 2025.04.02